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살인적인 폭염에 온열질환자가 속출하자 정부와 지자체는 앞다퉈 무더위 쉼터를 홍보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전국에 6만개나 있다고요. <br> <br>그런데 막상 가보면 쓸모 없는 곳들이 수두룩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왼쪽엔 에어컨 실외기가, 오른쪽엔 흡연부스가 있는 건물 옥상입니다. <br> <br>더위를 피할 데가 없어서 땀이 계속 나는데요.<br> <br>여기도 무더위쉼터랍니다. <br> <br>말만 쉼터인 곳들 찾아가보겠습니다.<br> <br>해가 옥상 전체를 쨍하게 비추고 벤치는 뜨겁게 달궈졌습니다. <br><br>온도는 45도를 넘었는데, 그나마 있는 그늘은 흡연부스가 전부. <br> <br>취재진도 땀범벅이 됐습니다. <br> <br>하남시청 옥상은 100명을 수용하는 무더위쉼터로 지정돼있지만 '쉼터' 표시도, 쉼터를 위한 구조물도 없습니다. <br> <br>[하남시청 직원] <br>"쉼터요? 쉼터가 어딘지 잘 모르겠어요. 여기 흡연장소인데…." <br> <br>파주의 한 무더위쉼터. <br> <br>어린이공원엔 나무그늘이 겨우 햇빛을 가렸습니다. <br> <br>어르신들은 부채질을 멈추지 않습니다. <br> <br>[정천영 / 경기 파주시] <br>"그늘막 좀 해놨으면 좋겠어요. 아우 덥죠. 어디 갈 곳이 없어, 노인네들은. 이제 기껏해야 이런 데만…." <br> <br>해 방향이 바뀌면 벤치에 앉지도 못합니다. <br> <br>[장송자 / 경기 파주시] <br>"종이 깔고 (맨바닥에) 앉아, 여기 해 들어오면…. (실내) 쉼터 하나 있으면 좋지. 맨날 가서 할머니들 다 놀지." <br> <br>덩그러니 놓인 정자도 무더위쉼터. <br> <br>관리가 전혀 안 돼 사실상 주민들 창고가 됐고, 올라가는 계단은 아예 부서져 있습니다. <br> <br>정자 안 온도는 땡볕과 비슷합니다. <br> <br>'쉼터' 현수막만 있고 앉을 곳이나 그늘 하나 없는 곳도 있습니다. <br><br>야외 무더위쉼터는 폭염 취약계층에 접근성이 좋고 재해 위험이 없고 '더위를 피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야 한다'는 애매한 기준만 마련돼 있습니다. <br><br>그렇다보니 전국 6만 247곳의 무더위쉼터 중 더위에 그대로 노출되는 야외 쉼터만 6천8백여 곳에 달합니다. <br><br>실내 무더위쉼터는 냉방시설을 갖춰야 한다는 기준이 있지만 정작 이용엔 제한이 많습니다. <br><br>지금 시각이 오후 1시 기온은 33도인데요. 무더위쉼터는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습니다.<br> <br>취재진이 돌아본 곳 중 세 곳은 아예 운영되지 않았고, 열려있는 곳 중에는 일반인 이용을 막는 곳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[경로당 이용자] <br>"경로당 회원들만 오는 거지.(무더위쉼터라고 적혀 있잖아요.) 아니야. 가입해가지고 회원들, 할머니들. 회원들만." <br> <br>아파트 안에 있다 보니 외부인은 이용을 엄두도 못 냅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몇 사람만 이렇게 점령하고 있으니까… 문제야." <br> <br>정부가 경로당에 냉방비 지원까지 해주고 있지만 정작 아무나 이용할 수가 없는 겁니다. <br> <br>[행정안전부 관계자] <br>"'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, 상시 개방을 해주십시오'라고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데요. 각 경로당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다보니까 강제할 수는 없는…." <br> <br>지정만 해놓고 관리는 안 되는 무더위쉼터. <br> <br>숫자만 늘려놓은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